subvisual

Sliding to KBO 리그


이젠 야구도 데이터 싸움? 세이버메트릭스




“승리를 위해 힘차게 날려라~” 1980년대부터 국민들을 울고 웃게 만들며 꾸준한 인기를 누려온 한국 프로야구, KBO. 이번 기획에서는 야구의 매력과 역사, 그리고 시대 흐름에 따라 변모하는 미래 프로야구의 모습을 알아봤다. <편집자 주>



영화 <머니볼> 속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는 메이저리그 만년 최하위 구단이다. 돈 없고 실력 없었던 오합지졸 구단이 20연승이라는 쾌거를 거둘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오직 경기 데이터에만 의존해 선수를 뽑는 것이 바로 그 비결이었다. 데이터를 통해 사생활 문란, 잦은 부상, 고령 등의 이유로 평가절하되던 선수들을 발굴해낼 수 있었던 것이다. <머니볼>은 통계학적 분석으로 성적을 크게 올린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구단의 성공 실화를 그린 영화다. 실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성공을 통해 데이터 분석으로 성적을 올릴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자 대부분의 메이저리그 구단에서 야구 데이터를 경기 전략 분석과 스카우트 등에 활용하기 시작했다.


이처럼 야구를 객관적·합리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야구 데이터를 수학적·통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세이버메트릭스’라고 한다. 해당 개념은 동료의 도움, 경기장 특성 등 설명되지 않는 운의 개입을 통제하고 선수의 객관적인 능력만을 나타내기 위해 고안됐다. 즉 타율, 타점, 방어율 등 클래식 지표의 허점을 보완하기 위한 지표인 것이다.


<머니볼> 속 오클랜드의 부단장 피터는 출루율과 장타율을 기반으로 선수를 스카우트했다. 타율과 타점으로 관심을 받지 못했던 선수들을 출루율이나 장타율이 좋으면 주전으로 발탁했던 것이다. 여기서 출루율은 타자 평가 지표로 타석에 나왔을 때 아웃 당하지 않고 주자로 살아남을 확률이다. 타율에 비해 출루율은 볼을 골라내는 선구안과 출루 능력이 지표에 반영돼 있어 득점과의 상관관계가 더 높다. 타자의 능력을 더 정확하고 섬세하게 나타내는 지표인 것이다. 장타율은 타자가 타격한 후 몇 루 출루 가능한지에 대한 기대 수치를 의미한다. 두 지표는 선수 개개인의 승리 기여도를 평가 하는 데에 적합하며 현재 타자를 판단하는 보편적인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세이버메트릭스는 선수들의 훈련에도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현재 KBO 구단들은 선수 개인별 최적의 투구와 타구의 궤도를 설정하고 선수들이 그에 맞출 수 있도록 하는 집중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투수들의 최적 투구 자세 설정에는 ‘피치디자인’이 이용된다. 피치디자인은 투수가 던진 공의 궤적과 회전, 상대 타자들의 스윙 특성을 분석해 투수 개개인에게 적합한 볼 배합을 훈련시키는 방법이다. 실제로 메이저리그의 투수 찰리 모튼은 피치디자인을 적용한 훈련으로 메이저리그 3위의 땅볼 유도율과 가장 적은 피홈런*을 기록할 수 있었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평소 투구 자세에 비해 공이 손에서 떠나는 순간의 위치인 릴리즈 포인트를 6인치 떨어뜨린다면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투수 뿐만 아니라 타자의 자세 교정에도 통계가 활용된다. ‘뜬 공 혁명’이란 타구가 시속 98마일 이상, 발사각이 25~30도일때 득점 확률이 가장 높다는 분석을 토대로 유행하게 된 스윙 방법이다. 2018년 실제로 뜬 공 혁명 발사각으로의 조정에 몰두했던 KT 위즈가 팀 홈런 2위(206개)에 등극하기도 했다.


이제는 프런트와 코칭 스태프에도 두루뭉술한 ‘감’이 아닌, 정확한 숫자로 현상을 파악하고 처방을 고민하는 트렌드가 자리 잡았다. 기술 발전에 따라 수학적·통계적으로 야구를 분석하는 ‘세이버메트릭스’라는 새로운 지평이 열린것이다.


글 | 정가영 기자 zelda0307@sogang.ac.kr


*피홈런 : 투수가 타자에게 홈런을 허용함

첨부파일